총 게시물 1,460건, 최근 0 건
 

 

2022년 대입개편안…'정시 확대'와 '단계적 절대평가'

기자명 : 양성현 입력시간 : 2018-08-04 (토) 09:08


김영란 전 권익위원장도 똑 부러진 대입 제도를 내놓지 못했다.

1.png

지난 4월 말부터 석 달간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화에 착수했지만 결과는 공론화 전이나 후나 별반 다르지 않았다. 교육부가 국가교육회의에 넘긴 공이 별다른 성과를 못 낸 채 되돌아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물과 기름 같은 상반된 대입 개편 의제(시나리오)가 나란히 다수안으로 뽑혀 셈법만 복잡해졌다.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입제도개편 공론화 결과’를 발표했다. 공론화위는 현재 중3 학생들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 제도를 네 가지 시나리오로 압축하고, 일반 시민 490명의 선호도를 조사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방안을 내놓기로 했었다.

수능 선발인원 비중을 45% 이상 의무화하는 시나리오 1이 최고점을 받았다. 이 방안대로라면 전국의 모든 학과는 수능으로 신입생 절반 가량을 뽑아야 한다(수시에서 정시로 이월하는 인원 포함 시). 시나리오 1은 시민참여단 490명이 참여한 5점 만점의 지지도 조사에서 평균 3.40점을 받았다.

그러나 수능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도 높은 지지를 받았다. 수능이 절대평가로 전환되면 주요 대학들은 변별력을 이유로 수능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비율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 시민참여단은 이 방안에 3.27점을 줬다. 공론화위가 밝힌 오차범위는 평점 0.23점이다. ‘지지한다’ 또는 ‘매우 지지한다’를 선택한 비율로 본 지지비율 비교에서도 시나리오 1은 52.5%, 2는 48.1%였다. 오차범위는 7.8%포인트다. 공론화위는 “시나리오 1과 2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설명했다.

상극인 두 시나리오 사이에서 결론을 내지 못한 것이다. 대입 제도를 일반 시민에게 물어보고 정한다는 대입제도 공론화는 잇단 교육정책 실패에 따른 문재인정부의 책임 회피성 꼼수란 지적이 많았다. 공론화를 통해 첨예한 갈등을 봉합하고 타당한 결론에 도달한 게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 혼란이 더욱 증폭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김영란이란 ‘스타’를 영입했어도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이번 결과는 국가교육회의에 제출된다. 국가교육회의 소속 대입개편 특위는 이를 바탕으로 7일 교육부에 넘길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발표한다. 교육부는 권고안을 바탕으로 8월 말 최종안을 내놓는다. 대입 특위와 교육부는 시나리오 1과 2 사이에서 절충점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교육회의 관계자는 “공론화 결과 보고서의 ‘조사결과의 함의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귀띔했다. 조사결과의 함의 부분을 보면 “2022학년도 수험생들을 위한 학생부위주 전형의 지속적인 확대에 제동을 걸고 수능위주 전형의 일정한 확대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돼 있다. 대입 특위와 교육부에 수능위주 전형 확대와 수능 상대평가 유지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시나리오 1처럼 수능 선발 비율을 의무화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공론화 실패의 후폭풍은 거셀 전망이다. 당장 시나리오 1을 주장하는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등 시민·학부모 단체는 “국민의 뜻이 확인됐다. 정시 45% 이상 선발하는 내용으로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추진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위를 했기 때문에 절충안에 만족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을 비롯한 44개 단체로 구성된 사회적 교육위원회는 "대입제도특위는 수능을 전 과목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수능과 학생부전형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확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육계 관계자는 “문재인정부가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청-재하청으로 정책을 떠넘기다 일반 시민이 정하는 공론화까지 갔는데 이마저도 실패한 듯하다. 혼란이 커질수록 사교육 업체들만 좋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대한방송연합뉴스,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2

언론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발행인:양성현 / 편집인:백숙기 / 등록번호 : 서울, 아02046 / 등록일자 : 2012년 3월 2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숙기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11-6 4층 뉴스센터 / 대표전화 : 02-3397-6689 /팩스 02)765-5009

Copyright ⓒ 대한방송뉴스. All rights reserved.